5강. 주식, 제국 기업을 찾아라
가치= Value = 주식의 미래 현금흐름을 요구수익률로 할인한 현재 비용
가격= Price = 투자자들이 시장에서 거래하는 주식의 가격
투자 판단의 근거는
If 본질가치 < 인식 가치 then 매도
If 인식 가치 < 본질 가치 then 매수 즉 가치와 가격을 구분할 수 있느냐
가치 평가_ 상대 가치 평가 척도
- 주가 수익 비율 PER
- 주가 장부 가치 비율 PBR
- 주가 매출액 비율 PSR
- 주가 현금 흐름 비율 PCFR
- EV/EBITDA 비율
직감을 가지려면,
Top down approach: 거시경제 (경기) 사이클 분석 > 주도 산업 분석 > 기업 분석
Bottom-up approach: 기업 분석기반으로 산업과 경제로 거슬러 가는 분석 법
산업 분석이 가장 중요하다. 이는 어떻게?
- 마이클 포터 5 force model
- 원가 우위, 차별화, 집중화 전략
- 글로벌 가치 사슬 분석
어떤 제국 기업을 고를 것인가? (+제후국 기업= 제국의 BM 을 활용하는 기업들)
확장- 기업 매출 확대 / M&A , 원가 경쟁력 - 기업 원가 절감, 증가하는 수요 - 기업 멤버십 / platform 확대, 알짜배기 식민지 - 기업의 cash cow 사업부 존재
시간을 담아낸다 - 기업에도 일정 시간이 필요
여때까지 인터넷 기반 제국 기업들이 FAANG 이었다면.. 앞으로는?
주식은 국가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투자와도 같다.
6강. 부동산: 공간과 사업을 연결하라
부동산 투자의 특징
1. 투자 대상으로 기회가 많다.
2. 투자 성적표가 늦게 나온다.
3. 부동산의 집중 소유 현상
부동산 투자해야 하는 이유?
1. 주식과의 상관관계가 낮다. (위험 분산 가능)
2. 인플레이션 위험을 줄인다.
3. 규칙적이고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한다.
4. 함부로 팔지 못하게 한다. (내가...ㅎ..)
부동산에 대한 가치 평가는?
1. 수익 환원법 (Income approach) for 임대형 부동산 : Cap Rate 수익환원율 = 순영업수익/부동산 가격
2. 유사 거래 비교법 (Sales comparison approach) for 주거용 부동산 = 평당 얼마?
3. 원가법 (Cost approach)
부동산 투자 방향성
1. (처음엔) 대세 따르기 (3교: 교육, 교통, 교류)
2. (나중엔) 나만의 가치 부여 방법 만들기
무조건 해야할 부동산 투자 2가지
1. 수익형 부동산 하나를 가져보자: 일정한 임대형 수익이 나는.
2. 공간을 활용하는 부동산 투자 훈련을 해보자 (부동산 공간 투자)
7강. 대체 투자: 투자 대상을 다각화하라 (확장 투자)
비상장, 아트, 상품(실물), 펀드, 디지털 자산 등등
급격한 경제 변동 상황에서 전통 투자를 대체/상환할 수 있는 투자가 있을까?
대체 투자는 위험 대비 수익률을 최대화 하기 위함이다.
비상장: 고충 포인트를 해결하는 사업모델을 가지고 있는가?
상품(실물): EFT 방식으로 이제 거래 가능 (1차 산물 금, 니켈 등등 광물, 곡물), 이들의 움직임을 보면 세상을 보는 지평이 넓어진다.
글로벌 경제의 영향을 많이 받기도 해서 이해도가 높아지는 부과 효과
펀드: 간접 투자로의 활용, eft, venture capital fund, hedge fund
크립토: 비트코인 파생 금융 상품 -> 빚을 내서 투자하면 안된다
투자 비율
전통 투자 (7~80) : 대체 투자 (3~20)
8강. 자본가의 길
성장문답
1. 겉을 볼 것인가 속을 볼 것인가?
2. 시장은 효율적인가 비효율적인가?
자본 시장에서 효율이란? 효과는 목표 달성, 효율은 원하는 자산을 원하는 가격에 매수/매도 하는 것
효율적은 passive approach 인덱스, eft 등 섹터, 시장에 대한 간접 투자
비효율적은 active approach 크립토, 부동산 등등 내가 능동적으로 공부해서 정보 우위를 얻아야 함
3. 가격을 볼 것인가 가치를 볼 것인가?
가치를 중심에 두고 가격을 판단하라
4. 추세를 볼 것인가 주기를 볼 것인가?
추세는 기울기를 보는 것이다. 추세를 보지 말고 주기를 보아야 한다.
주기를 보는 핵심 포인트는 '변곡점 turning point' 이다.
5. 천사의 추종자 (대세) 악마의 옹호자 (소수) 누구를 따라갈 것인가?
Professional Skepticism: Devil's advocate 이 되는 역할을 해봐야 한다. 청개구리의 시각을 가지고 의심해야 한다.
6. 빚내서 할 것인가 내 돈으로 할 것인가?
투자 자산의 성격과 내 기질을 파악해서 투자한다. 수익형 부동산은 부채 괜찮지만 크립토는 위험하다.
나는 위험에 어떠한 성향인가?
직관을 가지기 위해서 루틴을 지켜나가야 한다.
직관을 기르는 루틴?
- 일별 루틴: 글로벌 경제/시황 공부 20분 * 5일= 100분 (꼬리에 꼬리를 무는 기사)
- 주별 루틴: 리서치 리포트 읽기 100분 * 4주 = 400분
- 월별 루틴: 타자 관련 서적 일긱 1권 = 8시간
- 분기별 루틴: 본인의 투자 전략, 전술 보고서 쓰기
- 연관 루틴: 본인의 투자 결과 분석 및 계획 수립
자본가로서의 단계적 성장
- 1.0 지적 자본가: 학습과 성장을 통해서 (지식 부자!)
- 2.0 인적 자본가: 넓고 깊은 인간 관계를 통해서
- 3.0 금융 자본가: 금융자산의 축적을 통해서
- 4.0 산업 자본가: 사업의 개발 및 확장을 통해서
- 5.0 사회 자본가: 사회적 기여를 통해서 (Social Value)
cf. 사람에 대한 방향성, 직관력은 어떻게 기를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