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어떻게 일할 때 가장 생산성 있는 사람이 될 수 있는가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IT 어카운트 매니저로 일을 하면서 나에게 맞는 그 방법 중 하나가 'Project-based' 라는 것을 깨달았다.
나는 일이 프로젝트 성으로 진행되는 것이 즐겁다.
어떠한 목표가 있고, 해당 목표를 위해서 어떠한 스텝을 어떠한 리소스를 가지고 밟아나가야 하는지 계획을 세우고, 그를 실천하는.
그리고 그 프로젝트가 어떠한 결과로든 끝났을 때, 성취감이 있고 회고도 쉽다.
그래서 일에서뿐만 아니라, 삶에도 적용해 보기로 했다.
그 첫번째가 세바시에서 하는 '이동훈의 투자 수업' 8강 완강.
쉬운 것 부터, 테마를 잡아서 시작해보기 위함이다. 이 프로젝트는 이틀이면 끝날 것 같다.
프로젝트 개요
- 목적:
- 범위: 세바시 '이동훈의 투자 수업' 8강 + 이동훈 저자의 '어떻게 경제적 자유를 얻을 것인가' 완독
- Timeline
범위 | 1강 | 2강 | 3강 | 4강 | 5강 | 6강 | 7강 | 8강 | 책1/2 | 책2/2 |
날짜 | 22/5/4 (총 소요 예상 시간: 2시간) | 22/5/5 (총 예상 소요 시간: 2시간) | 5/5 | 5/6 | ||||||
진행 % | 10 | 20 | 30 | 40 | 50 | 60 | 70 | 80 | 90 | 100% |
내용 정리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I6bDyv0uVQAa2r2dq7I0oJegfA7HKHzV
[이동훈의 투자수업] 어떻게 경제적 자유를 얻을 것인가? 시리즈 8강
경제적 자유 쟁취를 위한 투자 교육 시리즈입니다. 세바시 유튜브 채널에서 인사이트 중심의 강의 시리즈를 무료로 보실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사례와 더 깊은 지식, 질의응답 콘텐츠는 세바시
www.youtube.com
1강. 30년 후 어떻게 살고 싶은가?
- 재무적 의미의 재정 독립: 자산 > 부채, 수입 > 지출
- 중요한 것은 수입을 늘리는 것.
- 자본 소득 > 근로 소득
- 사회적 합의의 재정 독립: 내가 하고 싶은 일 (업)을 시간과 비용에 구애받지 않고 할 수 있는 상태
<투자 로드맵>
- 1 단계 (20대) : 기본적인 매커니즘 학습
- 2 단계 (30대): 소액 투자를 통한 경험의 학습
- 3 단계 (40대): 나만의 투자 철학 습득
- 4 단계 (50대): 진정한 투자 시작
- 5 간계 (60대): 수확 시점- 자산 현실화
<재정 독립의 2단계 완성>
- 1 단계: Take-off 가능성에 대한 확신
- 2 단계: Cruise 를 통해서 안정적 경제적 부를 이루어 감
2강. 나에게 맞는 투자환경을 구축하라
1. 나 자신: 지난 기간 나의 투자 패턴을 냉정하게 분석한다. 나를 낯설게 봐라.
2. 주변 환경: cross-checking networ, 투자에 대한 신념을 가지고 있는 사람. 그러한 사람들과 어울릴 때, taker 가 아닌 giver 가 되어야 receiver 가 된다.
3. 거대 환경
경제 /기술 /인식 /지정학적 /투자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경제- 진보경제학과 보수경제학의 교체에서 나타나는 큰 변화, 기술- ICBM
인식- 소비에 대한 이식, 개인의 놀이 방식에 대한 인식, 일하는 방식의 변화
지정학적- 경제 대국들 사이 갈등, 분쟁 패권 전쟁 등으로 인한 영향, 국제정치적 갈등으로 인한 경제적/ 산업적 영향, 개도국-선진국 간의 협업 및 갈등 구조의 변화 등 (강 vs 강 / 강+약)
투자- 투자 트랜드, 중장기 시각의 변화 (장단기, 직간접 등등). 지금은? #ESG
산업- 산업의 라이프 사이클,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 Demographic 적 변화로 인한 영향
이 패러다임들의 임팩트가 얼마 정도인가?
패러다임의 맥락을 이해하자. 왜 이 패러다임이 발생 하였는가?
3강. 투자의 기초부터 학습하라
1. 투자 이론
- 수익 (전체 수익=Total Return 이 중요) 과 위험 (자산 가격의 변동성) 을 조절하고,
- 상관관계를 낮게 하는 분산 투자를 해야 하며
어떻게 분산?
a. 목표 투자수익률과 목표 투자기간을 설정한 후
b. 전략적 자산 배분- 안전 자산과 위험 자산의 비율 (주식, 채권, 부동산, 상품, 현금 etc...)
c. 전술적 자산 배분- 산업과 종목의 선정 및 교체
- 투자의 본질을 알아야 한다: 본질 가치와 인식 가치를 비교하여 매도/매수해야하고, 자산은 언젠가는 본질 가치로 돌아 온다는 대전제
2. 투자 실제: 투자계획서를 쓰자
3. 투자 훈련
4강. 실전에 뛰어들기 전에 사례로 투자력을 길러라
1. 메가 사이클 이용! (거시 경제 공부)
과거의 장기 패턴을 충분히 학습. 큰 그림을 보는 게 중요하다.
2. 게임 체인저! (산업 공부)
기존의 산업계를 혁신하는 사업 모델, 글로벌 가치 사슬을 완성해 가는 기업. 게임 체인저를 찾아라.
앞으로 10년을 성장할 산업.
3. 컨버전스! (기존 산업+신기술)
기존 legacy 사업이 신기술과 융합하여 나타나는 새로운 공룡. 기술 진보 및 상업화에 대한 확실한 이해 필요
4. 스타트업! (벤처 투자 공부)
벤처캐피탈 network 확보, 성공한 스타트업 CEO 들을 통한 cross-checking. 산업과 트랜드를 보는 눈 필요
5, 6. 수익형/개발형 부동산
수익형은 부채를 통해 매입 후 임대 수입으로 이자를 갚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3년에 1개씩 5개)
금리 상승 시 이자비용 증대 가능성 확인, 임대 시 공실율 증대 가능성, 부동산 보유세/양도소득세 체크
7. 메자닌 하이브리드!
메자닌은 주식과 채권의 중간. 투자의 안정성은 유지하면서 upside 를 노리는 전략
8. 저평가 부실 자산!
본질 가치 이하로 하락한, 저평가된 부실 자산 투자 전략 (MPA)
경매부동산 투자시 위험확인 해야되며 투자 후 재매각시 까지 기간이 늘어질 위험 있음
9. 신흥 시장!
*고성장* 신흥 국가의 인덱스 또는 대표 기업들의 주식 장기 투자
정치 사회적, 환율 불안전성 있음
투자는 경계에 있는 것!
'테크 세일즈로 살아남기 > Indust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커리어 스토리는 무엇일까? (0) | 2022.02.04 |
---|